블로그 이미지
신비마마

태그목록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오라클 운영팁_1

2009. 4. 22. 09:28 | Posted by 신비마마
1. alertSID.log 파일의 관리
  오라클이 오랜 기간 동안 서비스를 하게 되면 alertSID.log 파일의 크기는 매우 커지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해당 파일 시스템에 여유공간이 부족해 질 수 있다. 이때 해당 alertSID.log파일을 삭제하게되면 오라클에서는 alertSID.log 파일은 필수 파일이므로 바로 재생성을 하게 된다. 따라서 크기가 너무 커진 alertSID.log 파일은 삭제를 하거나 참조를 위해 다른 곳으로 옮겨 놓으면 alertSID.log는 다시 생성되어 데이터베이스의 모든변경을 기록하게 된다.

2. 시작과 종료
  하위의 시작 단계에서 상위의 어느 시작 단계로든 이행을 가능하나 역순으로는 불가능하다. 즉, SHUTDOWN -> NOMOUNT -> MOUNT -> OPEN은 가능하나 OPEN -> MOUNT -> NOMOUNT 는 불가능 하다.

3. 데이터베이스 기동과 롤백
  비정상 종료 시점에 수행되던 작업은 데이터베이스 재기동시 롤백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것은 오라클의 모든 버전에서 동일하다. 하지만 오라클 8버전 이전은 데이터베이스를 오픈하지 않고 롤백을 수행했지만 그 이후 버전은 오라클을 오픈하고 내부적으로 SMON백그라운드 프로세스에 의해 롤백을 수행하게 된다. 이는 오라클 버전이 높아지면서 서비스 정지 시간을 최소화하겠다는 의미가 된다.

4. 빠른종료
  보통의 경우 데이터베이스를 종료하기 위해서는 SHUTDOWN IMMEDIATE를 수행하게 된다. IMMEDIATE는 수행중인 작업에 대해 강제 종료를 하며 롤백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좀더 빠르게 수행하고자 하다면 SHUTDOWN IMMEDIATE를 수행하기 전에 운영체제에 존재하는 서버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하여 빠르게 롤백을 수행하게 한다면 좀더 빠른 종료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5. 리두 로그 파일 사용량 측정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하다 보면 아카이브 로그 모드 적용을 위해 리두 로그 파일 저장에 필요한 파일 시스템 크기 계산 및 시간대별 또는 요일별 데이터베이스 사용량 파악 등을 위해 리두 로그 파일의 생성추이를 확인해야 할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이 V$LOG_HISTORY 동적 성능 뷰를 검색하여 확인할 수 있다.

SQL > SELECT TO_CHAR(FIRST_TIME, 'YYYY-MM-DD') "DATE", COUNT(*)
          FROM V$LOG_HISTORY
          GROUP BY TO_CHAR(FIRST_TIME, 'YYYY-MM-DD') ;

  FIRST_TIME컬럼은 DATE 타입이므로 원하는 값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TO_CHAR() 함수를 적용해야 한다. 위와 같이 수행하면 하루 동안 생성된 리두 로그 파일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6. 아카이브와 데이터베이스 행(Hang)
  아카이브 로그 모드에서 로그를 기록하고자 하는 리두 로그 파일의 아카이브가 완료되지 않아서 행(Hang) 현상이 발생할 경우 해결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ARCH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의 개수 증가
     2. 리구 로그 그룹의 개수 및 크기 증가
  리두 로그 그룹의 개수 및 크기를 증가시킨다는 것은 리두 로그 그룹 순환이 가급적 늦게 발생하게 하는 방법이다. 즉, 로그 스위치에 의해 체크포인트 및 아카이브가 수행된 리두 로그 그룹이 다시 사용되기까지의 소요시간을 더 많이 확보하면 체크포인트 및 아카이브가 종료될 가능성은 더 높아진다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이를 이용하여 리두 로그 그룹의 개수 및 크기를 증가시키면 데이터베이스 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데이터베이스 행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은 보통 디스크 I/O속도와 리두 로그 생성 속도간의 차이 때문이다. 이 경우 ARCH프로세스 수를 증가시키는 것은 큰 효과가 없을 수 있으므로 리두 로그 그룹의 개수와 크기를 증가시키는 방식을 권장한다.


[출처]초보자를 위한 Oracle 10g_권순용, 김지한, 황오현저